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3

2023 T1 월드챔피언십 멤버별 우승스킨 영상 올해 월즈 우승 스킨은 2023 대회 우승 팀인 T1의 다섯 선수의 의견을 받아 제작됐다. 탑 '제우스' 최우제-정글 '오너' 문현준-미드 '페이커' 이상혁-원거리 딜러 '구마유시' 이민형-서포터 '케리아' 류민석 대회 우승을 차지하고 이를 기념할 스킨의 주인공이 된 것.♧ 제우스의 일반버전 제이스역경을 이겨내고 승리하는 모습을 그리고 싶어했다. 궁극적으로 MVP에 도달하기까지 겪었던 다섯 번의 패배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길 원했다.그래서 제이스가 롤드컵 트로피를 들어 올리기 전, 다섯 번의 번개가 내리친다. 귀환 모션은 제이스가 트로피와 함께 제우스를 상징하는 안경을 착용하며 승리를 자축하는 포즈로 마무리♧ 오너의 리신벵기 배성웅의 리 신을 같이 보여주고 싶어했다. 그래서 해당 스킨에 리 신의 홀로그램 버.. 2024. 7. 31.
IOC '올림픽 e스포츠 대회' 창설, '페이커'를 올림픽에서 만난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e-스포츠만을 위한 올림픽을 내년에 처음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개최하기로 했습니다. 국제 올림픽 위원회 IOC가 참여하는 ‘올림픽 e스포츠 대회’가 새롭게 열릴 전망입니다. 오늘(25일) 파리에서 열린 제142차 IOC 총회에서 ‘올림픽 e스포츠 대회’가 집행위원들의 만장일치로 창설이 결정됐습니다. 올림픽 e스포츠 대회에 대한 자세한 일정 등은 알려지지 않았으며 개최 시기와 장소만 2025년 사우디아라비아로 확정됐습니다.  이는 최근 수년간 사우디아라비아가 게임 및 e스포츠 산업에 많은 관심과 투자를 진행했을 뿐만 아니라 이번 올림픽 e스포츠 대회 창설에도 사우디아라비아 국가올림픽위원회(NOC)가 큰 영향을 끼쳤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올림픽 e스포츠 대회는 IOC와 NOC의 파트.. 2024. 7. 26.
'페이커' 이상혁이 추천하는 도서 목록, 독서 목록 페이커선수님이 소개하는 독서목록, 아프리카 방송바로가기https://vod.afreecatv.com/player/111677753 T1 FakerT1 Fakervod.afreecatv.com 페이커선수가 읽은 책들을 읽고 독후감을 쓴 팬분들의 독후감을 모아서 독후감 모음집을 출판사에서 페이커선수에게 선물.https://vod.afreecatv.com/player/116476197 [클립]독후감[클립]독후감vod.afreecatv.com  레벨 1~5레벨1 :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는 책 술술 읽히는 책레벨2 : 집중력이 필요하지만 대중적이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레벨3 : 어느정도 분야에 대한 이해가 있다면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레벨4 : 분야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며 필요에 따라 메모하며 .. 2024. 7. 16.
LOL G.O.A.T, T1 'Faker' 우승기록 "유일무이, 전무후무라는 수식어를 사용하더라도 모자란 선수다" - LCK 이정훈 사무총장 - 6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 영빈관에서 이상혁의 전설의 전당 1호 헌액을 기념하기 위한 전설의 전당 미디어데이가 개최됐다. LCK 이정훈 사무총장은 축사를 통해 이상혁의 헌액을 축하했다. 이 사무총장은 "유일무이, 전무후무라는 수식어를 사용하더라도 모자란 선수다"라는 말로 이상혁의 헌액에 축하를 보냈다.  (링크 : 라이엇 게임즈가 페이커에게 보내는 헌사) 라이엇 게임즈 '페이커'를 위한 헌액 영상 공개(첫번째 Mastery)'페이커' 이상혁 선수는 모든 E스포츠 전체를 통틀어 봐도전무후무하다.그렇기에 우리는 '페이커' 이상혁 선수의 공헌에 말로 표현할 수 없이 감사할 따름이다.- NAZ ALETAHA (Global.. 2024. 7. 13.
페이커 이상혁의 연봉은? 250억? 1996년생으로 올해 나이 만 28세인 페이커는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로, e스포츠의 슈퍼스타이다.페이커의 연봉과 집안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페이커가 계약한 연봉은 약 100억 원으로 전해졌다. 앞서 그는 중국에서 막대한 연봉을 제안받았으나 한국 잔류를 선택한 바 있다.    "돈이나 명예는 계속 좇다 보면 더 큰 것을 생각할 수밖에 없다. 제 인생의 가장 큰 의미가 있는 팬들에게 선한 영향력을 주고자 고민하고 실천하려 한다." 평범하고 내성적이던 한 10대 소년이 지금은 전 세계 이스포츠 팬들이 동경하는 '리그오브레전드(LoL·롤)'의 전설이 됐다. 프로게이머 '페이커' 이상혁(28)의 이야기다. 미국의 ESPN은 페이커를 봉준호, 손흥민, BTS(방탄소년단)와 함께 '한국의 엘리트4'라 .. 2024. 7. 13.
올림픽 위원회, 내년 e스포츠 올림픽 사우디서 첫 개최 12년간 e-스포츠 후원을 하기로 한 사우디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e-스포츠만을 위한 올림픽을 내년에 처음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개최하기로 했습니다. IOC는 현지시간으로 12일 성명을 통해 e-스포츠 올림픽을 정기적으로 열기로 하고 내년 첫 개최지로 사우디를 선정했다고 밝혔습니다.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은 "사우디 NOC는 모든 이해관계자와 함께 e스포츠 분야에서 독보적이지 않더라도 훌륭한 전문성을 갖고 있다. 올림픽 e스포츠와 함께 일할 수 있어 매우 행운이다"라며 "올림픽 e스포츠 대회는 이런 경험을 통해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사우디 NOC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프로그램의 게임 타이틀, e스포츠를 수용하고 있는 젊은 관객들과의 참여와 관여해 올림픽의 가치를 존중할 수 있게.. 2024. 7. 13.
'롤의신' 페이커, 사우디 e스포츠 월드컵 초대 챔피언 등극 “모든 길은 나로 통한다” e스포츠의 아이콘 ‘페이커’ 이상혁(28, T1)이 자신이 뱉은 말을 또 한 번 증명해 냈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열린 e스포츠 월드컵(이하 EWC)에 국내 리그오브레전드(LoL) 프로 리그 LCK 대표로 출전한 이상혁의 소속팀 T1이 LoL 종목에서 우승을 차지한 것이다. 이로써 T1은 사우디 e스포츠 월드컵 LoL 종목 초대 챔피언이라는 역사를 쓰게 됐다. 결승전 MVP로 선정된 이상혁 역시 이번 EWC LoL 종목 우승으로 라이엇게임즈 주관 국제 대회인 리그오브레전드 월드 챔피언십(롤드컵)과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MSI) 우승에 이어 새로운 우승컵을 커리어에 추가했다. 말 그대로 LoL의 모든 기록은 그를 통하게 됐다.  라이엇 게임즈는 '페이커 신전'을 열면서 살아있는 .. 2024. 7. 8.
T1, 'e스포츠 월드컵' LoL 최초 우승팀 등극, 빈살만 왕세자는 함박웃음! T1이 e스포츠 월드컵에서 우승했다 올해 처음으로 개최된 사우디 EWC2024의 개최 배경에는 무함마드 빈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의 통큰 투자가 뒷받침됐다. 빈살만 왕세자는 이번 대회를 ‘사우디 비전 2030’의 일환으로 경제 다각화, 관광 부문 성장 등 새로운 미래 경제 발전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추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이 대회를 통해 인권 문제, 성차별, 예맨 내전개입 등으로 얼룩진 부정적인 국가 이미지를 개선하려는 의도였다. 빈살만 왕세자는 이번 대회를 통해 전 세계의 e스포츠 패권을 장악하고 e스포츠의 중심이 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이에 ‘오일머니’의 막대한 자본력으로 역대 최고 규모와 상금 액수를 걸고 매년 사우디서 e스포츠 대회를 열겠다고 선언했다.  이번 T1의 우승으로 사우디도.. 2024. 7. 8.
사우디 e스포츠 월드컵 'T1, 또 마지막 희망됐다' LCK의 또 마지막 희망이 된 T1LCK대표로 '사우디 e스포츠 월드컵에 출전한 T1과 Geng가 처음부터 희비가 엇갈렸다.  T1은 5일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키디야 아레나에서 열린 'e스포츠 월드컵 2024' LOL 종목 8강전에서 BLG를 2-1로 제압했다. 이번 승리로 4강전에 오른 T1은 프나틱을 제압한 팀 리퀴드와 최종 결승전 진출을 놓고 대결하게 됐다. T1이 순조로운 출발을 알린 것과 다르게 젠지는 6일 같은 장소에서 열린 TES와의 8강전에서 0-2로 패배하면서 일정을 빠르게 마무리하고 말았다. 젠지는 첫 'e스포츠 월드컵'에서 아쉬운 성적표를 받고 말았다.   다른 리그오브레전드 국제 대회와 다른 EWC의 진행 방식이 변수로 꼽힌다. 일반적으로 5전 3선승제로 치러지는 다른 대회 본선과.. 2024. 7. 6.
T1, BLG와 '복수전' 7월 5일 자정 첫 경기! SOOP(아프리카TV)로 생중계 아프리카TV와 함께 국내 인터넷 방송을 양분하고 있던 트위치의 사업 철수는 시장의 지난해를 대표하는 사건이다. 이와 함께 네이버가 게임 콘텐츠 강화를 위해 새로운 방송 플랫폼 ‘치지직’을 발표 하며 게임 방송 시장이 요동쳤다. 스트리머들의 이동이 마무리 된 2분기 이후 플랫폼별 방송 및 시청자 분포에서는 ‘치지직’과 ‘SOOP’의 양강 구도가 나타나고 있다. SOOP의 명백한 우세가 보이는 가운데 치지직 또한 이를 견제할 수준의 시청자 수를 확보한 상황이다. 이에 더해 양 플랫폼은 더 많은 시청자를 유치하기 위해 본격적으로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분위기다.    첫 포문을 여는 종목은 LoL이다. LoL은 한국 시간으로 7월 5일부터 8일까지 나흘간 열린다. 총 8개 팀이 참가하는 가운데 한.. 2024. 7. 1.